한전, 인공지능 로봇 기반의 전력설비 점검기술 성과 시연

기사입력:2017-06-22 22:15:29
설비진단용 드론.(사진=한국전력)

설비진단용 드론.(사진=한국전력)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김영삼 기자] 한국전력(사장 조환익)은 22일, 나주혁신단지에서 정부·산업계·노동계 등 200여명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자율비행 드론 설비 진단기술'과'Big-Data 기반의 설비상태 자동분석기법'을 소개하고 작업자 안전을 최우선 하는'전력선 비접촉식 활선작업 공법'에 대한 시연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자율비행드론 설비진단기술은 정부에서 주관하는 ‘2016년 시장 창출형 로봇보급사업’에 참여한 사업으로 핵심기술인 로봇 및 광학기술을 접목해, 차량진입이 어려운 산악지, 하천횡단개소 또는 지상에서 점검이 곤란한 전력설비 상부를 GPS 경로를 따라 자율비행 하면서 점검하는 기술이다.

설비상태 자동분석기법은 세계 최초로 Big Data와 Machine-Learning 기술을 접목한 첨단 기술로 진단장비 일체를 차량에 탑재해 손쉽게 전력설비를 진단할 뿐만 아니라 자동으로 고장점을 찾아냄으로써 시간과 비용을 최대 10배까지 절감할 수 있다. 현재 이 기술 에 대해 중동, 동남아에서 많은 관심을 보여 한전은 자체 활용 뿐만 아니라 공동개발에 참여한 중소기업과 함께 해외수출도 추진중이다.

또한, 전력설비를 유지보수 할 때 기존엔 작업자가 전기가 흐르는 특고압선을 직접 만지는 직접활선공법을 활용하였으나, 작년 6월 부터 한전은 작업자 안전을 최우선 하는 비접촉식 간접활선공법 으로의 정책 전환 및 관련 기술을 개발하게 됐다.오는 9월부터 전국 작업현장에 본격 도입할 계획임. 이 기술을 적용하면 감전 등 안전사고가 획기적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이 날 시연회를 주관한 한전 박성철 영업본부장은 “정부 역점정책인 4차 산업혁명 구현에 있어 세계최고의 전력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한전이 앞으로 주도적인 역할을 할 것이며, 특히 사람이 먼저인 안전한 작업환경을 만들기 위한 사회적 요구와 책임을 성실히 수행하겠다”고 밝혔다..

김영삼 기자 yskim@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33.74 ▲18.79
코스닥 790.36 ▲6.12
코스피200 422.02 ▲0.80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9,100,000 ▲51,000
비트코인캐시 688,000 ▼1,500
이더리움 3,695,000 ▲63,000
이더리움클래식 23,700 ▲180
리플 3,257 ▲12
퀀텀 2,808 ▲4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8,956,000 ▼4,000
이더리움 3,678,000 ▲46,000
이더리움클래식 23,640 ▲150
메탈 956 ▲6
리스크 549 ▲1
리플 3,252 ▲10
에이다 833 ▲1
스팀 181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9,120,000 ▲30,000
비트코인캐시 686,000 ▼5,000
이더리움 3,701,000 ▲68,000
이더리움클래식 23,720 ▲170
리플 3,256 ▲12
퀀텀 2,785 0
이오타 228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