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비’에 저작권 침해 패소한 메가스터디 “저작권료 못 주겠다” 항소

서울중앙지법 “메가스터디는 저작권 침해에 따른 창비에 손해를 배상할 의무 있다” 기사입력:2015-03-18 12:42:52
[로이슈=신종철 기자] 온라인 교육사업을 하는 메가스터디가 동영상 강의 교재에 대한 저작권료를 주지 않기 위해 교과서 제작사인 창비를 상대로 소송을 냈다가 패소하자, 항소했다.

교과서를 이용한 ‘유료 인터넷 동영상 강의’는 교과서 제작사의 저작권을 침해하는 행위에 해당한다는 법원의 판결에 불복해서다.

서울중앙지방법원에 따르면 메가스터디(주)는 온라인 교육사업 등을 하는 회사로 자사 홈페이지 이용자들에게 수능, 내신 관련 동영상 강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주)창비는 교과서, 평가문제점 등 교육 관련 서적을 출판하는 회사다.

그러데 창비는 교재 저자들로부터 출판권 및 2차 저작물 작성권을 양도받은 다음, 2011년 2월 창비 교재를 메가스터디의 동영상 강의 서비스에 이용하는 것에 관한 출판물 이용 계약을 체결했다.

이후 메가스터디는 2011년 2월부터 11월까지 동영상 강의를 제작하고 홈페이지를 통해 수강생들에게 유료로 제공했다. 그런데 계약기간이 만료됐으나 재계약에 관한 합의가 이뤄지지 않아 2012년 5월 재계약 협상이 결렬됐다.

그런데 메가스터디는 재계약 협상이 결렬된 이후에도 계속 동영상 강의를 자사 홈페이지를 통해 수강생들에게 제공했다.

메가스터디는 그러면서 “동영상 강의에 창비 교재가 이용됐다고 하더라도, 동영상 강의는 해당 강사의 독창적인 교수법에 의해 진행되는 것으로서, 내용이 창비 교재와 실질적으로 유사하지 않은 독작적인 저작물에 해당한다”며 소송을 냈다.

서울중앙지법 제13민사부(재판장 심우용 부장판사 심우용)는 지난 2월 12일 메가스터디가 교과서 제작사인 창비를 상대로 낸 채무부존재확인 청구소송(2012가합541175)에서 원고 패소 판결한 것으로 18일 확인됐다.

그러자 메가스터디는 지난 4일 항소해 사건은 서울고등법원으로 올라갔다.

▲서울중앙지법과서울고등법원이있는서울법원종합청사

▲서울중앙지법과서울고등법원이있는서울법원종합청사

이미지 확대보기


재판부는 “동영상 강의에 수강생들이 각종 시험에 대비해 손쉽게 지문의 내용을 이해ㆍ암기하거나 출제 가능한 문제의 풀이방법을 학습할 수 있도록 강사 나름의 요령과 방식에 따라 지문 이외의 설명을 부가한 부분이 포함돼 있고, 설명 부분의 경우 강사 나름의 독창적인 표현방법으로서의 창작성이 인정될 여지가 있다고 하더라도, 동영상 강의는 기본적으로 피고 교재를 토대로 한 것으로서, 강사가 피고 교재의 일부 지문 및 문제 등을 그대로 낭독하거나 판서하면서 강의가 진행된다”고 말했다.

이어 “해당 강사의 창작적인 표현이라고 인정할 수 있는 부분들을 감안하더라도, 국어 교과의 특성상 교과서 또는 문제집의 지문 자체가 중요한 내용이 되고, 여기에다가 동영상 강의의 목적, 수강생의 연령 등까지 고려하면, 동영상 강의의 전체적인 내용과 진행 방식은 피고 교재의 기본적인 구성과 체계, 지문 내용에서 크게 벗어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재판부는 “따라서, 동영상 강의에서 피고 교재로부터 인용되는 부분을 제외할 경우 나머지 부분만으로는 고등학교 국어 교과과정에 대한 강의로서의 실질적인 가치를 가질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봤다.

또 “동영상 강의는 원고가 관리하는 서버에 저장돼 일정한 기간 동안 계속적으로 수강생들에게 제공되고, 온라인 강의의 특성상 지역적으로 국한되지도 않으며, 수강생들이 반복적으로 동영상 강의를 시청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상당한 정도의 계속성과 파급력을 지니고 있어, 동영상 강의가 영리적ㆍ상업적으로 이용됨에 따라 피고 교재의 저작권자들이 온라인 강의 시
장에서 누릴 수 있는 잠재적 가치가 상당히 훼손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동영상 강의 제공의 목적 및 영리성, 동영상 강의에서 피고 교재가 인용된 부분이 차지하는 비중과 중요성, 동영상 강의의 제공에 따른 피고 교재의 잠재적 시장 가치 훼손 가능성 등에 비추어 보면, 원고가 동영상 강의를 수강생들에게 유료로 제공한 행위가 저작물의 통상적인 이용 방법과 충돌하지 않고 저작자의 정당한 이익을 부당하게 해치지 않는 경우로서 저작권법에서 정하고 있는 저작물의 공정한 이용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다”고 봤다.

재판부는 그러면서 “원고가 피고 교재를 이용해 동영상 강의를 제작해 수강생들에게 제공한 행위는 피고 교재에 대한 피고의 복제권 및 2차적저작물 작성권 등을 침해하는 행위에 해당한다”며 “따라서 원고는 피고에게 저작권법에 따라 저작권 침해에 따른 손해를 배상할 의무가 있다”고 판단했다.

한편, 재판부는 “원고가 피고 교재에 대한 저작권 침해를 이유로 피고에게 지급해야 할 손해배상금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이상 이 사건 계약에 정한 이용료 상당액”이라고 설명했다.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561.86 ▲5.25
코스닥 722.74 ▲5.50
코스피200 339.15 ▲0.41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9,943,000 ▼115,000
비트코인캐시 532,000 ▼1,000
이더리움 2,662,000 ▼4,000
이더리움클래식 24,690 ▼60
리플 3,206 ▼9
이오스 1,027 ▼2
퀀텀 3,186 ▼1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9,884,000 ▼136,000
이더리움 2,661,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4,710 ▼60
메탈 1,219 ▼3
리스크 787 ▼3
리플 3,203 ▼12
에이다 1,029 ▼9
스팀 215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9,900,000 ▼230,000
비트코인캐시 532,000 ▼1,000
이더리움 2,661,000 ▼6,000
이더리움클래식 24,670 ▼110
리플 3,207 ▼11
퀀텀 3,190 0
이오타 308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