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국내 연구진이 기억력 회복과 치매 억제에 효과적인 새로운 물질을 찾아냈다.
고려대학교 의과대학은 박길홍 명예교수 공동연구팀(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바이오센터, 아산의료원, 충남대 신약전문대학원)이 ‘프테로신 D(pterosin D)’라는 성분이 뇌 속 신호 전달 단백질을 자극해, 기억력 향상과 알츠하이머병 진행 억제에 도움을 준다고 19일 밝혔다.
고려대에 따르면 프테로신 D는 기존 치매 치료제와 달리 뇌세포를 직접 자극하는 새로운 작용 방식으로, 뇌세포 안에서 기억과 학습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PKA, 단백질 키나아제 A)을 자극한다. 이 단백질이 활발해지면 신경세포 성장, 기억 형성에 중요한 단백질(BDNF, TrkB)들이 활성화되어, 기억력과 인지기능이 좋아진다. 실제로 알츠하이머 유전자를 가진 실험쥐에 프테로신 D를 3개월간 먹인 뒤 미로 실험을 한 결과, 공간학습과 기억 능력이 크게 향상됐다.
또한, 프테로신 D는 기존 치매 치료제처럼 뇌세포 내 신호물질(cAMP) 수치를 증가시키지 않고, 단백질 키나아제를 직접 자극해 부작용이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 연구팀은 컴퓨터 시뮬레이션 분석을 통해, 프테로신 D가 이 단백질의 활성 부위에 정확히 결합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에 뇌세포를 보호하는 주변 세포에는 영향을 주지 않아 염증 반응 같은 부작용도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성 측면에서도 뇌혈관 장벽을 잘 통과하고, 간 대사 효소나 심장, 유전독성에 대한 부작용 위험도 낮아 안전한 신약 후보로 평가된다.
박길홍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명예교수는 “프테로신 D는 알츠하이머병의 핵심 원인을 직접 표적으로 삼아 인지기능과 기억력을 회복시키고 신경세포를 재생하는 효능을 보여줬다”며, “이번 발견은 치매를 호전시킬 수 있는 새로운 치료 전략을 제시한 것으로, 향후 임상 연구로 이어질 중요한 기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해당 연구는 국제 학술지 알츠하이머병 저널(Journal of Alzheimer’s Disease)에 ‘프테로신 D 활성화 단백질 키나제 A는 치매 유전자 실험쥐(5xFAD)의 알츠하이머병을 완화(Pterosin D-activated protein kinase A mitigates Alzheimer’s disease in 5xFAD mice)’라는 제목으로 게재됐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국내 연구진, 알츠하이머병 치료 신물질 ‘프테로신 D’서 치매 억제 효과 확인
기사입력:2025-06-19 16:41:01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054.28 | ▼61.99 |
코스닥 | 775.80 | ▼17.53 |
코스피200 | 412.74 | ▼8.2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7,617,000 | ▲37,000 |
비트코인캐시 | 664,000 | ▲3,000 |
이더리움 | 3,431,000 | ▼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260 | ▼30 |
리플 | 3,088 | ▲21 |
퀀텀 | 2,650 | ▼9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7,577,000 | ▼159,000 |
이더리움 | 3,430,000 | ▼9,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270 | ▼20 |
메탈 | 910 | ▼0 |
리스크 | 509 | ▼4 |
리플 | 3,089 | ▲22 |
에이다 | 786 | 0 |
스팀 | 173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7,610,000 | ▼80,000 |
비트코인캐시 | 663,500 | ▲2,500 |
이더리움 | 3,431,000 | ▼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230 | ▼70 |
리플 | 3,090 | ▲22 |
퀀텀 | 2,658 | 0 |
이오타 | 213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