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원룸서 자취하려면 ‘매달 40만원’ 지출해야

기사입력:2021-12-21 14:39:13
[로이슈 최영록 기자] 최조임금 근로자가 서울에서 원룸 자취를 하려면 매월 평균 40만원을 월세로 지출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같은 임금으로 전셋집을 구하기 위해선 월급을 한 푼도 쓰지 않고 약 7년 6개월을 저축해야 가능하다.

15일 부동산 플랫폼 다방을 서비스하는 스테이션3가 올해 1월부터 10월 말까지 서울에서 실거래된 연립·다세대, 단독·다가구 월세를 조사한 결과 전용 30㎡이하 원룸의 평균 월세는 40만원, 보증금은 2703만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자치구별로는 강남구(55만원), 서초구(51만원), 중구(48만원), 마포구(45만원), 용산구(44만원), 송파구(43만원), 종로구(43만원), 광진구(41만원), 서대문구(41만원) 등 9곳이 서울 원룸 평균 월세가를 웃돌았다.

올해 우리나라 최저임금은 8720원으로, 이를 월급으로 환산하면 182만2480원(유급주휴 포함 월 209시간)이다. 최저임금을 받는 근로자가 서울에서 원룸 자취를 할 경우 이 가운데 21.9%를 주거비로 지출하게 되는 셈이다. 여기에 관리비, 생활비 등을 더하면 자취생의 주거비 부담은 더욱 증가한다.

월세에 대한 부담을 전세로 대체하기에는 상황이 더욱 좋지 않다. 같은 기간 거래된 서울 연립·다세대, 단독·다가구 중 전용 30㎡이하 원룸의 평균 전세가격은 1억6361만원으로 조사됐다. 최저임금을 받는 근로자가 원룸 전세를 구하기 위해서는 임금 전액을 저축했을 때 약 7년 6개월(90개월)이 걸리는 셈이다.

최저임금 전액 저축 기준, 평균전세가격 도달까지 가장 오래 걸리는 자치구는 서초구(2억5544만원)로, 약 11년 8개월(140개월)이었다. 이어 강남구(2억2993만원) 10년 6개월(126개월), 강서구(2억670만원) 9년 5개월(113개월), 양천구(2억261만원) 9년 3개월(111개월) 등이 뒤를 이었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98.00 ▼4.03
코스닥 802.27 ▲2.90
코스피200 431.67 ▼0.82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122,000 ▼1,751,000
비트코인캐시 679,500 ▼9,500
이더리움 4,048,000 ▼73,000
이더리움클래식 24,850 ▼570
리플 3,923 ▼107
퀀텀 3,051 ▼65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993,000 ▼1,657,000
이더리움 4,041,000 ▼82,000
이더리움클래식 24,810 ▼660
메탈 1,043 ▼39
리스크 595 ▼12
리플 3,916 ▼120
에이다 984 ▼25
스팀 194 ▼6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150,000 ▼1,580,000
비트코인캐시 679,000 ▼11,000
이더리움 4,047,000 ▼77,000
이더리움클래식 24,820 ▼600
리플 3,922 ▼112
퀀텀 3,048 ▼52
이오타 292 ▼11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