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심준보 기자] 한국예탁결제원은 금융감독당국의 사모펀드 투명성 제고를 위한 제도개선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에 본격적으로 착수했다고 12일 밝혔다.
예탁원에 따르면 우선, 전자등록ㆍ예탁되지 않은 비(非)시장성자산에 대한 상품코드를 표준화하는 ‘펀드 투자대상 자산 표준코드 관리기준’을 정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펀드자산 잔고대사 지원 시스템’을 구축하여 집합투자업자(운용명세)와 신탁업자(신탁명세)의 상호 대사ㆍ검증을 지원한다.
같은 시스템 구축으로 사모펀드 시장 참가자간 상호 견제ㆍ감시가 강화되고 펀드 운용과정의 투명성이 제고되어, 사모펀드에 대한 투자자 신뢰를 회복할 수 있을 것으로 관계자는 기대했다.
한국예탁결제원은 자산운용업계 전문가들의 목소리를 반영하여 사모펀드를 위한 든든한 안전장치 구축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전했다.
한국예탁결제원은 작년 말부터 이어진 사모펀드 환매중단 사태로, 시장 투명성 제고를 위한 공공서비스 제공 필요성을 인식하는 중에, 최근 옵티머스 환매중단 사태의 발생으로 시장참가자 간 상호 감시ㆍ견제 인프라 구축 필요성을 더욱 절감하게 됐다고 전했다.
이에 한국예탁결제원은 옵티머스 사태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TF(Task Force) 전담조직을 신설하고 적극적으로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지난 8월 금융당국의 사모펀드 제도개선을 위한 ‘행정지도’에 발맞추어 관련 시스템 구축에 관한 사항을 대외적으로 발표했으며 전담조직 ‘사모펀드투명성강화추진단’(부서급)을 설치하고, 펀드 전문인력 9명을 투입했다.
사모펀드투명성강화추진단은 그간 금융당국, 집합투자업자, 신탁업자, 사무관리회사, 채권평가회사 등 약 40여개 자산운용업계 관련 기관을 직접 방문하여 협의했다. 심도있는 자문과 논의를 위해 자산운용업계 관련 전문가로 구성된 내ㆍ외부 레퍼런스 그룹도 병행하여 운영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자산운용업계에서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제시한 ‘펀드넷을 통한 사모펀드 제도개선 지원 방향’에 적극적으로 호응하고, 시스템 구축 필요성에 대해서도 공감하였으며 사모펀드와 대체투자 증대에 따른 비시장성자산 관리의 어려움을 토로하였고, 자산운용업계 TF 구성과 참여에 동의했다.
자산운용업계 관계자들은 시장이 필요로 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전문가의 목소리를 듣는 논의의 장(場) 마련을 요구했다. 이에 10월 8일일, 금융감독원 주관으로 자산운용업계전반이 참여하는 T/F를 구성하고 첫 번째 회의(Kick-off)를 개최했다.
한국예탁결제원은 자산운용사업 인프라인 펀드넷(FundNet)을 기반으로 수탁(Custody), 사무관리, 채권평가, 판매회사 등 사모펀드가 살아 숨쉬는 인프라 역할을 하는 ‘생태계(Ecosystem) 조성’에 주력할 예정이다.
예탁원에서는 올해 중으로 참가자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시스템 개발(안)을 마련할 예정이며, 내년 하반기부터는 동 시스템을 통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고 전했다.
심준보 로이슈(lawissue) 기자 sjb@rawissue.co.kr
예탁원, 옵티머스 사태 재발 방지를 위한 상호 견제ㆍ감시 시스템 구축 착수
기사입력:2020-10-12 19:52:30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33.74 | ▲18.79 |
코스닥 | 790.36 | ▲6.12 |
코스피200 | 422.02 | ▲0.8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699,000 | ▼275,000 |
비트코인캐시 | 688,000 | ▼3,500 |
이더리움 | 3,620,000 | ▼1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450 | ▼10 |
리플 | 3,244 | ▼1 |
퀀텀 | 2,792 | ▼8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666,000 | ▼277,000 |
이더리움 | 3,616,000 | ▼1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430 | ▲20 |
메탈 | 950 | ▼3 |
리스크 | 546 | ▲0 |
리플 | 3,245 | ▲5 |
에이다 | 827 | ▼4 |
스팀 | 180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680,000 | ▼320,000 |
비트코인캐시 | 686,000 | ▼4,000 |
이더리움 | 3,620,000 | ▼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550 | ▲80 |
리플 | 3,243 | ▲3 |
퀀텀 | 2,785 | 0 |
이오타 | 228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