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KOTRA가 1일 미국 시카고에서 ‘글로벌파트너링(GP) USA 2019’ 행사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KOTRA에 따르면 GP는 세계적 기업의 부품소싱, 연구개발 등 협력 수요를 발굴해 국내 중소·중견 소재·부품·장비기업의 글로벌 가치사슬 진입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번 행사는 기계·중장비 산업 중심지에서 우리 기업의 미국 진출을 위해 마련됐다.
미국은 최근 자국 제조업의 가격경쟁력 확보를 위해 글로벌 소싱 전략를 변경하려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국제통상 환경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미국 내 기존 부품 수입단가는 상승했다. 다수 기업은 적극적으로 대체 수입선 발굴을 추진 중이라고 설명했다.
KOTRA 시카고무역관이 자체 실시한 글로벌 바이어 대상 설문조사 결과도 이러한 움직임을 나타낸다. 28개 기업 중 20개사(약 71%)가 “경제성과 안정성을 고려해 대체 공급선을 물색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또한 미국 정부의 사회간접자본(SOC) 분야 인프라산업 투자계획 등으로 기계·중장비 수요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 기업의 미국시장 진출 적기나 다름없다. 이번 사업은 시장진입 장벽이 높아 미국 진출에 어려움을 느낀 국내 중소·중견기업에 새로운 기회가 될 예정이라고 전했다.
우선 기계·중장비·자동차산업 분야 글로벌 선두기업이 행사에 다수 참가한다. ▲중장비 세계1위 캐터필러(Caterpillar) ▲자동차부품 글로벌 톱5 제트에프(ZF)가 대표적이다. 이들 회사는 국내 중소·중견기업 54개사와 1:1 비즈니스 상담을 170여건 진행한다고 알려졌다.
바이어 28개사 중 일본계 글로벌기업도 눈에 띈다. ▲농기계 제조업체 얀마(Yanmar), ▲자동차부품 1차 벤더 아이신(Aisin)을 비롯해 엔티엔 베어링(NTN Bearing), 가네마쯔(Kanematsu) 등이 한국 소재·부품 기업과 상담하려 행사에 참가한다고 전해졌다.
최근 미국 내 일본기업은 원가절감을 위해 핵심부품을 제외한 범용부품을 한국, 중국 등 제3국에서 소싱하는 정책을 추진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는 한-일 교역 갈등으로 일본 수출 감소를 우려하는 우리 기업의 새로운 돌파구가 되리라 기대된다는 게 관계자의 설명이다.
그동안 GP USA는 미국 기계·중장비, 자동차부품 산업 분야 글로벌 기업을 섭외해 우리 기업이 단조품, 주조품, 유압부품 등 기간산업 주요부품을 수출하는 데 기여했다. 이번에도 Bailey Hydraulics, SMF 등 기계·중장비 및 상용차의 A/S용 부품과 소모품을 납품하는 현지 2차 벤더가 초청됐다.
손수득 KOTRA 혁신성장본부장은 “미국 기계·중장비 및 자동차부품 시장은 앞으로도 꾸준한 성장세가 예상된다”며 “GP USA를 시작으로 우리 중소·중견기업과 글로벌 기업을 연결하는 파트너십 프로젝트를 연중 추진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KOTRA, 시카고서 미 기간산업 가치사슬 진입 위한 'GP USA' 사업
기사입력:2019-10-01 18:12:50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202.03 | ▲26.26 |
코스닥 | 799.37 | ▼1.10 |
코스피200 | 432.49 | ▲4.42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5,511,000 | ▲599,000 |
비트코인캐시 | 695,000 | ▼3,500 |
이더리움 | 4,138,000 | ▼2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5,680 | ▼110 |
리플 | 4,031 | ▼23 |
퀀텀 | 3,145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5,515,000 | ▲660,000 |
이더리움 | 4,139,000 | ▼18,000 |
이더리움클래식 | 25,710 | ▼90 |
메탈 | 1,088 | ▲3 |
리스크 | 604 | ▲1 |
리플 | 4,032 | ▼18 |
에이다 | 1,017 | ▼3 |
스팀 | 200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5,610,000 | ▲680,000 |
비트코인캐시 | 696,000 | ▼2,500 |
이더리움 | 4,139,000 | ▼19,000 |
이더리움클래식 | 25,690 | ▼160 |
리플 | 4,037 | ▼14 |
퀀텀 | 3,142 | ▼28 |
이오타 | 300 |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