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LS(회장 구자열)가 23일, 그룹의 기술 올림픽으로 불리는 연구개발 성과공유회 ‘LS T-Fair 2019’를 안양 LS타워에서 개최했다.
T-Fair는 LS 창립 이후 그룹 차원에서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고 연구 문화를 확산시키기 위해 지난 2004년부터 실시하여 올해로 15회째를 맞았다.
행사에는 구자열 회장, 구자엽 LS전선 회장을 비롯한 회장단과 각 계열사 CEO, CTO(최고기술책임자) 등 연구원 400여 명이 참석했으며, 한해동안 이룬 R&D 성과를 공유하고 우수 과제 발표와 시상식 등을 가졌다.
올해는 예년과 달리 우수 과제에 대한 전시를 과감히 생략하고 미디어 퍼포먼스, 인문학·비즈니스 특강, 참석자 네트워킹 등을 새롭게 도입해, R&D 구성원들이 실질적이고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는 시간을 마련했다는 점이 특징이다.
특강에는 과학탐험가 문경수 씨가 ‘관점을 달리하면 새로운 세상이 열린다’를, 딜로이트컨설팅 송기홍 대표가 ‘산업분열(Industry Disruption)과 DT(Digital Transformation)’를 주제로 각각 강연을 펼쳐 임직원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R&D 우수 과제로는, LS전선의 글로벌 시장 맞춤형 버스덕트(bus duct : 전선 등 도전체를 강철제 외함에 수납한 배선통) 및 LS엠트론의 국내 최초 100마력급 트랙터 파워시프트(자동차의 기어 등을 작은 조작력으로 조절할 있는 변속 장치의 방식) 개발 등 5개 회사의 과제가 제품·프로세스 혁신의 우수 사례로 선정됐다.
또한 LS산전의 전기 배터리와 신재생 에너지에 필수적인 저압 직류 차단기와 계전기(Relay : 전압, 전류, 전력, 주파수 등의 전기 신호를 열거나 닫는 스위치)와, 예스코의 IoT(사물인터넷)를 활용한 위험예측 조기경보시스템 등 3개 과제가 디지털 혁신의 성공모델을 제시해 D/T 부문 우수 과제로 꼽혔다.
구 회장은 격려사에서 “최근 기업들의 최대 현안인 한·일 무역 갈등의 격화 양상 속에서 결국 ‘R&D와 혁신’이 이 난국을 타개할 핵심 열쇠” 라며, “주력 사업 분야에서 고부가가치 제품과 서비스 개발로 후발주자와의 격차를 벌리고, 4차 산업혁명 흐름에 대응해 미래성장동력을 창출하려면 이러한 R&D 우수 사례들이 더 많이 나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포드자동차 창업자인 헨리 포드의 말을 인용, “비행기가 이륙할 때에는 바람의 힘을 뒤에서 받지 않고, 맞서기 때문에 뜬다는 것을 기억하라”며, “AI, 5G 등 기술 환경이 급변하고 주변 상황이 녹록지 않지만, LS만의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에너지로 여러분이 그룹의 혁신 선봉장이 되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구자열 회장은 2015년부터 ‘R&D Speed-up’과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을 그룹의 연구개발 및 미래 준비 전략으로 강조해 왔으며, 이에 LS그룹은 각 계열사 별로 전통적인 제조업 분야에 AI, 빅데이터, 디지털 디자인, 3D프린팅 등을 설계와 개발, 검증 단계 등에 적용해 운영 효율성을 높이는 한편, 디지털 변혁을 위한 R&D 과제를 선정해 추진하며 디지털 기업으로의 변신으로 꾀하고 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구자열 회장, “’R&D와 혁신’이 한·일 무역 갈등 타개할 핵심 Key”
기사입력:2019-09-24 11:26:42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054.28 | ▼61.99 |
코스닥 | 775.80 | ▼17.53 |
코스피200 | 412.74 | ▼8.2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7,960,000 | ▼132,000 |
비트코인캐시 | 666,500 | ▲500 |
이더리움 | 3,442,000 | ▼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290 | ▼20 |
리플 | 3,032 | ▼3 |
퀀텀 | 2,661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003,000 | ▼41,000 |
이더리움 | 3,443,000 | ▼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300 | ▼10 |
메탈 | 908 | ▼3 |
리스크 | 510 | ▼2 |
리플 | 3,031 | ▼5 |
에이다 | 783 | ▼1 |
스팀 | 173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7,990,000 | ▼80,000 |
비트코인캐시 | 666,000 | ▲500 |
이더리움 | 3,443,000 | ▼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330 | ▼20 |
리플 | 3,033 | ▼3 |
퀀텀 | 2,651 | ▲4 |
이오타 | 213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