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국내 최대 부동산 정보 플랫폼 다방의 데이터 분석 센터에서 지난 한 해 다방에 등록된 110만여 개의 원룸 매물(전용면적 33㎡ 이하)을 분석해 ‘2019 서울 원룸 월세 추이’를 21일 발표했다. 해당 자료에서는 서울시 각 구의 월세 월별 추이 및 지역별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모든 매물의 보증금을 1000만원으로 일괄 조정해 산출했다.
◆ 방학 시즌인 1월과 7월 가장 높고 5월 가장 낮아
다방의 ‘2019 서울 원룸 월세 추이’에 따르면 서울 원룸 월세가 가장 높은 달은 7월이었으며, 1·2·6·12월이 그 뒤를 이었다. 월세 최저점을 기록한 달은 5월이었으며, 8~11월의 월세도 비슷한 수준으로 낮게 나타났다. 원룸 시장은 대학생, 사회 초년생 수요의 비중이 높다 보니, 입학∙복학∙졸업∙취업 등이 몰린 여름∙겨울 시즌에 월세가 상승하는 추세를 보인다.
◆ 최고 시세 서초∙강남구…도봉·금천구의 2배 수준
서울에서 원룸 월세가 가장 높은 지역은 강남구, 서초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지역의 경우 연중 월세 최고가가 68만원이었는데, 이는 금천구 월세 최고점(36만원, 12월)의 2배에 육박한 수치였다. 또 강남구 월세 최저점은 57만원(4월)이었는데 이는 서울 20개 구의 월세 최고점을 웃도는 시세로 강남구와 다른 구 사이에 월세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동북권에 속하는 도봉∙강북구, 서남권의 금천∙구로∙관악구는 연중 최고 월세가 40만원을 넘지 않으며 서울에서 가장 낮은 월세를 기록하고 있는 지역으로 꼽혔다.
지난 한 해 월세 변동 폭이 가장 큰 곳은 중구로, 최저점 2월(48만원)과 최고점 5월(67만원)의 월세 차이가 19만 원에 달하면서 월세 변동성(표준편차)이 25개 구 중 가장 높은 5.6을 기록했다. 특히 중구의 경우 1월에는 가장 낮은 월세를 기록했지만 3월에는 월세가 상승하면서 타지역과 다른 가격 흐름을 보였는데, 이는 직장인 수요가 많은 주요 도심권이기에 가격 양상이 다르게 나타난 것이라는 게 다방의 설명이다.
여러 개의 대학교가 속해있는 지역도 월세 변동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대∙숭실대가 속한 동작구, 연세대∙이화여대∙명지대가 속한 서대문구의 월세 변동성(표준편차)은 각각 3.7을 기록하며 중구 다음으로 높은 월세 변동 폭을 보였다. 반면 도봉∙강북∙강서구는 월세 변동성이 0.6~1.2에 그치며 월세가 안정적으로 유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 홍익대 주변 월세 최고가 57만원…대학가 중 가장 높아
대학가 원룸 시장의 경우 여름∙겨울 방학 시즌에 상승하고, 학기 중에 하락하는 양상이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서울 주요 대학교 중에서는 홍익대의 월세가 가장 높았다. 홍익대는 연중 최저점이 51만원(10월)으로, 건국대∙경희대∙서울대∙한양대 등 타 대학의 월세 최고 수치를 웃도는 수치를 기록했다. 홍익대의 월세 변동성은 1.7로, 변동 폭도 크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10개 대학교 가운데 월세가 가장 낮았던 곳은 서울대, 중앙대로 홍익대와의 차이가 15만원에 달했다.
스테이션3 다방 데이터 분석 센터 강규호 팀장은 “원룸 월세 시장은 수요가 많은 여름, 겨울 방학 시즌에 가격 상승세가 두드러지고, 학기 중에 월세 변동이 크지 않은 편이다”며 “업무시설 및 상업시설이 밀집해 직장인 수요가 많은 강남·동작·서대문·서초·성동·중구 등은 월세 변동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부동산 앱 다방, ‘2019 서울 원룸 월세 추이’ 발표
기사입력:2020-01-21 10:18:19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054.28 | ▼61.99 |
코스닥 | 775.80 | ▼17.53 |
코스피200 | 412.74 | ▼8.2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101,000 | ▼46,000 |
비트코인캐시 | 666,000 | ▼1,000 |
이더리움 | 3,446,000 | ▼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340 | ▼60 |
리플 | 3,035 | ▼3 |
퀀텀 | 2,667 | ▼3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146,000 | ▼44,000 |
이더리움 | 3,447,000 | ▼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310 | ▼120 |
메탈 | 912 | ▼4 |
리스크 | 511 | ▼1 |
리플 | 3,036 | ▼2 |
에이다 | 786 | ▼1 |
스팀 | 173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140,000 | ▼60,000 |
비트코인캐시 | 665,500 | ▼2,500 |
이더리움 | 3,446,000 | ▼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350 | ▼80 |
리플 | 3,037 | ▼2 |
퀀텀 | 2,647 | 0 |
이오타 | 213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