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국내 핀테크 기업들이 지난 1년 사이 약 50% 이상 증가하면서 정부의 핀테크 혁신 활성화 정책이 빛을 발하는 가운데, 전통 금융사와 핀테크 기업 간 공조로 가시적인 성과를 이끈 사례가 늘어나 주목된다.
이들 기업들은 핀테크 기업의 뛰어난 기술력과 전통 금융사의 운영 노하우를 바탕으로 안전하면서도 편리한 금융 서비스들을 제공하면서 기업 간 상생은 물론, 금융 이용자 삶의 질 향상에도 기여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 어니스트펀드-신한은행, 투자자 자금 보호하는 투자금 신탁관리시스템 구축
P2P금융기업 어니스트펀드는 지난해 5월부터 신한은행과 함께 투자금 신탁관리시스템을 공동 개발해 P2P업계 최초로 적용했다. 이 방식은 투자자금을 분리해서 관리하는 에스크로 시스템에서 더 나아가 법률적으로 투자자 권리를 가장 완벽하게 보호할 수 있는 신탁계약 방식으로 주목을 끌었다.
신탁관리란 고객의 투자금을 가장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방식으로 신탁시스템을 적용할 경우, P2P기업이 파산하더라도 투자자들은 은행으로부터 직접 투자자금을 돌려받을 수 있어 제3채권자의 강제집행으로부터 안전하게 투자자금을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해당 시스템은 현재 어니스트펀드 외에도 다수의 P2P금융 기업들이 채택해 안전한 투자자금 보호에 활용 중이다.
■ 보이스피싱 범죄 막은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기업은행
암호화폐 1위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는 지난 6월 두 차례에 걸쳐 제휴은행인 기업은행과 자사 이상거래 감지 시스템에 적발된 보이스피싱 사례를 신속하게 대응해 투자자 피해를 성공적으로 막았다.
먼저 이상거래로 의심되는 사례를 감지한 업비트는 즉시 해당 이용자에게 출금정지 조치 및 안내 문자를 발송했으며, 회원의 사기 연루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업비트 제휴은행인 기업은행에 사기계좌 등록 확인을 요청했다.
그 과정에서 보이스피싱 범죄자로 등록된 것을 발견해 경찰에 신고했으며 이후 출금정지 해제를 요청하기 위해 고객센터를 방문한 용의자를 현장에서 즉시 검거한 바 있다. 업비트는 앞으로도 투자자들의 안전한 암호화폐 거래환경 조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방침이다.
■ 금융사-간편결제업체 제휴 이어져… 국민카드, 삼성카드 등
간편한 결제수단으로 다양한 ‘페이’ 서비스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는 가운데, 금융사와 간편결제업체 간 제휴 서비스도 대폭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KB국민카드는 생활밀착 업종에서 ‘삼성페이’로 결제 시 할인을 제공하는 ‘삼성페이 KB국민카드’를 출시했다. 이 카드의 경우 전월 결제 실적이 40만원 이상일 경우 적용되며 카드를 삼성페이에 등록해 건당 3만원 이상 사용하면 월 최대 1만5000원 내에서 결제금액의 10%가 할인된다.
NHN페이코는 우리카드와 제휴해 PAYCO우리체크카드를 출시했다. 이 상품은 페이코 온,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현금처럼 바로 사용할 수 있는 ‘페이코포인트’ 적립에 특화됐다. 삼성카드는 간편송금플랫폼 토스와 손잡고 제휴상품인 ‘토스 탭탭S 카드’를 선보였다.
NH농협은행은 금융권 최초로 카카오페이와 제휴를 맺어 전용통장인 ‘NH x 카카오페이통장’을 선보여 1020세대의 돌풍적인 인기를 얻기도 했다. 이 통장을 카카오페이 출금계좌로 등록할 시 별도의 금액 충전 없이 실시간 송금 및 결제가 가능하다.
편도욱 기자 toy1000@lawissue.co.kr
전통금융-핀테크 '공조'로 시너지 높인다
기사입력:2018-07-31 09:51:48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93.67 | ▼31.91 |
코스닥 | 717.67 | ▼5.95 |
코스피200 | 344.80 | ▼4.58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4,780,000 | ▼156,000 |
비트코인캐시 | 596,000 | ▼6,000 |
이더리움 | 3,685,000 | ▼1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050 | ▼130 |
리플 | 3,370 | ▼11 |
이오스 | 1,060 | ▼5 |
퀀텀 | 3,307 | ▼6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4,845,000 | ▼52,000 |
이더리움 | 3,686,000 | ▼1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110 | ▼90 |
메탈 | 1,192 | ▼1 |
리스크 | 765 | ▲1 |
리플 | 3,370 | ▼12 |
에이다 | 1,114 | ▼6 |
스팀 | 218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4,880,000 | ▼30,000 |
비트코인캐시 | 594,500 | ▼8,500 |
이더리움 | 3,685,000 | ▼1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000 | ▼220 |
리플 | 3,369 | ▼12 |
퀀텀 | 3,309 | 0 |
이오타 | 324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