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포스코홀딩스가 1분기 연결기준 매출 17조4370억원, 영업이익 5680억원, 순이익 3440억원의 실적을 발표했다.
글로벌 관세전쟁 및 경제적 불확실성에 따른 경영환경 악화 속에서도 전분기(2024년 4분기) 대비 매출은 약 △2.1% 감소했으나 영업이익은 전분기 대비 4730억 증가해 실적이 개선되면서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2024년 1분기) 수준을 회복했다.
철강사업은 주요 공장의 수리 증가로 생산 및 판매량이 감소했으나 판매가격 상승과 원가절감에 따른 수익성 개선으로 영업이익이 전분기 대비 34.7% 증가한 4500억원을 기록했다.
에너지소재사업의 경우 포스코퓨처엠의 하이니켈 양극재 판매가 확대됐으며 음극재도 고객사의 공급망 다변화 수요 확대에 따라 판매량이 증가했다. 또 가동 초기 에너지소재 법인들의 수익성 개선으로 전분기 대비 영업적자 폭이 감소했다.
에너지·건축·DX·물류사업 등 인프라사업 부문에서는 포스코인터내셔널 가스전 판매 증가와 발전부문 실적 개선 등에 힘입어 영업이익은 307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181.7% 증가했다.
이날 포스코홀딩스는 최근 발표한 현대자동차그룹과의 철강 및 이차전지 분야 상호 협력 내용과 핵심 사업 투자 계획 및 저수익/비핵심자산 구조개편 성과도 설명했다.
포스코그룹은 지난해 3월 장인화 회장 취임 이후 ‘2Core+New Engine’ 전략에 따라 철강, 에너지소재, 신사업 중심으로 그룹 사업을 재편한 바 있으며, 철강사업은 고성장/고수익 시장 중심으로 현지 거점을 확보해 가는 '완결형 현지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포스코그룹은 지난해 인도 최대 철강그룹인 JSW그룹과 현지 일관제철소 합작 프로젝트를 추진키로 했으며, 최근 현대자동차그룹과 철강 및 이차전지소재 등 미래 모빌리티 사업 분야에서 상호 협력을 강화한다고 발표했다.
포스코그룹은 현대자동차그룹과의 미국 제철소 공동투자를 통해 글로벌 통상환경 위기 대응과 함께 북미 철강시장의 교두보를 확보하고, 이차전지소재사업에서도 글로벌 Top 기업들과의 전략적 제휴를 강화해 나가는 등 핵심 사업분야에서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또 포스코그룹은 저수익·비핵심자산 구조개편도 속도감 있게 실행하고 있다. 지난해부터 시작된 구조개편으로 현재까지 약 9500억원 수준의 현금을 창출했고, 올해 말까지 총 2조1000억원의 누적 현금창출을 계획하고 있다. 이와 함께 올해 8조8000억원 투자 계획을 밝히며, 광양 전기로 신설, 아르헨티나 염수 리튬 2단계, 호주 세넥스에너지 증산 등 그룹 핵심사업에 대한 투자를 지속할 계획임을 강조했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포스코홀딩스, 수요 산업 부진·불확실성 가중에도 실적 개선
기사입력:2025-04-24 15:54:04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46.72 | ▼18.70 |
코스닥 | 715.80 | ▼10.66 |
코스피200 | 337.44 | ▼1.62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472,000 | ▼69,000 |
비트코인캐시 | 523,500 | ▼5,500 |
이더리움 | 2,591,000 | ▼1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090 | ▼90 |
리플 | 3,235 | ▲3 |
이오스 | 990 | ▼3 |
퀀텀 | 3,124 | ▼4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400,000 | ▼156,000 |
이더리움 | 2,591,000 | ▼1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090 | ▼90 |
메탈 | 1,209 | ▲1 |
리스크 | 769 | ▼2 |
리플 | 3,237 | ▲5 |
에이다 | 1,003 | ▼6 |
스팀 | 215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430,000 | ▼160,000 |
비트코인캐시 | 525,000 | ▼2,500 |
이더리움 | 2,591,000 | ▼1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080 | ▼110 |
리플 | 3,237 | ▲3 |
퀀텀 | 3,124 | 0 |
이오타 | 304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