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의료서비스 분야는 정보 비대칭이 심하다는 특징이 있다. 그렇다 보니 환자들은 여러 의료기관을 방문해 검진과 진료를 받는 경우가 많다. 또 실제로 치료를 받더라도 치료효과에 대한 불만족으로 인해 타 의료기관을 찾는 일도 비일비재하다. 이는 결국 환자의 시간적·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킨다. 특히 우리나라는 한의와 양의라는 이원화된 의료시스템을 갖고 있기 때문에 혼란은 더욱 커질 수 있다. 이때 한·양방 협진은 환자 치료에 효과적인 수단이 된다. 정부도 의료 서비스 향상과 의료기술 발전 등을 목적으로 ‘의∙한 협진 시범사업’을 실시한 바 있다. 시범사업 결과, 치료 비용 감소와 치료시간 단축 등 효과들이 확인됐다.
자생한방병원은 업계에서도 선도적으로 한∙양방 협진을 도입해 정착시켰다. 진단과 치료의 역할을 분리해 비수술 척추치료의 전문성을 끌어올리는 시스템을 구축한 것이다. 자생한방병원은 이 같은 협진 노하우를 바탕으로 지난 2017년부터 ‘의사∙한의사 한자리 진료’를 개설해 운영 중이다. 이 협진 시스템은 한방재활과, 재활과, 영상의학과 등 한·양방 전문의들이 한자리에 모여 환자와 소통하며 치료계획을 세워 진료하는 통합의료 시스템이다. ‘의사∙한의사 한자리 진료’는 협진 시스템의 과정과 성과 등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아 지난 2019년 의∙한 협진 2단계 시범사업 우수 사례로 선정돼 보건복지부 장관상을 받은 바 있다.
한의사와 의사를 한 자리에서 만나는 동시 협진의 경우 치료의 중복을 피할 수 있고, 환자의 시간을 아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환자의 치료 만족도 향상을 위해 동시 협진이 활성화될 필요가 있지만, 한의사와 의사가 동시에 진료를 하더라도 1건으로만 인정해 진료비를 지급하는 등 제도상의 애로사항이 존재한다. 뿐만 아니라 협진 활성화를 위한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한 협진 선호도 조사 연구도 많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자생한방병원 척추관절연구소 이윤재 한의사 연구팀은 한의과 다빈도 질환인 척추·관절 질환의 의료기관 이용 및 협진 선호도 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척추·관절 질환 치료에 있어 ‘동시 협진’에 대한 선호도가 높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7일 밝혔다. 해당 논문은 SCI(E)급 국제학술지인 ‘Medicine (IF=1.552)’ 5월호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2017년 9월부터 10월까지 만 35세 이상 75세 미만 남녀 1,008명을 대상으로 전화 인터뷰를 시행했다. 응답자의 절반에 가까운 44.6%(450명)는 척추·관절 질환으로 의료기관에서 치료를 받은 경험이 있었다. 응답자에게 제시한 협진의 형태는 ▲한의사·의사가 한자리에 모여 동시에 진료에 참여하는 형태 ▲한·양방 의료기관 중 한 곳에서만 진료 받는 형태 ▲한·양방 치료를 환자의 요구나 의료진의 의뢰에 따라 진행하는 형태 ▲기타 등 총 4가지였다.
논문에 따르면 설문 결과 응답자들은 성별과 연령, 거주지역 등에 관계 없이 한·양방이 동시에 진료하는 협진 시스템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절반 이상인 585명(58%)은 한의사와 의사를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동시 협진을 선호했다. 한의와 양의 중 하나만을 선택해 진료 받는 방식을 선호하는 응답자는 220명(21.8%)이었으며 한의와 양의 각각의 치료를 필요에 따라 추가적으로 받는 의뢰 방식의 협진은 191명(18.9%)이 선호했다. 동시 협진을 선호하는 응답자가 일반적인 협진을 선호하는 응답자 보다 약 3배 이상 많은 것이다.
환자의 경험 여부도 협진에 대한 선호도에 영향을 미쳤다. 한의 의료기관에서 치료를 받은 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이용 경험이 없는 사람에 보다 동시 협진을 1.73배(OR=1.73)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 협진을 인지하고 있으나 경험해본 적이 없는 사람이, 협진의 존재를 인지하지 못하는 사람에 비해 동시 협진을 1.82배(OR=1.82) 선호했다. 협진을 인지하고 경험이 있는 경우에는 선호도가 1.98배(OR=1.98)로 더 높아졌다.
자생한방병원 척추관절연구소 이윤재 한의사는 “이번 논문을 통해 동시 협진에 대한 환자의 요구가 크다는 사실을 확인 할 수 있었다”며 “동시 협진이 활성화되기 위해선 진료비 등 다양한 제도적 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말했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자생한방병원 척추관절연구소 “한자리 진료, 일반 협진보다 환자 선호도 3배 이상 높아”
기사입력:2021-06-07 21:31:11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202.03 | ▲26.26 |
코스닥 | 799.37 | ▼1.10 |
코스피200 | 432.49 | ▲4.42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3,682,000 | ▲366,000 |
비트코인캐시 | 689,500 | ▲2,500 |
이더리움 | 4,114,000 | ▲1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5,620 | ▲120 |
리플 | 4,060 | ▲49 |
퀀텀 | 3,132 | ▲18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3,770,000 | ▲302,000 |
이더리움 | 4,114,000 | ▲9,000 |
이더리움클래식 | 25,600 | ▲70 |
메탈 | 1,080 | ▲6 |
리스크 | 602 | ▲5 |
리플 | 4,056 | ▲43 |
에이다 | 1,010 | ▲8 |
스팀 | 198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3,720,000 | ▲440,000 |
비트코인캐시 | 689,500 | ▲2,000 |
이더리움 | 4,114,000 | ▲1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5,670 | ▲130 |
리플 | 4,058 | ▲44 |
퀀텀 | 3,128 | 0 |
이오타 | 301 |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