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암병원 최영득 교수, 비뇨기암 로봇수술 5000례 달성

기사입력:2021-03-04 19:26:10
[로이슈 전여송 기자] 연세암병원은 본원 비뇨기과 최영득 교수가 최근 아시아 최초, 세계 다섯 번째로 비뇨기암 로봇수술 5000례를 달성했다고 4일 밝혔다.

최 교수의 로봇수술 5000례 중 전립선암 수술이 약 85%로 가장 많다. 로봇수술을 받은 전립선암 환자 중 약 70% 정도가 고위험군으로, 이 중 80% 정도가 3기 이상 환자였다.

전립선은 골반 뼈 안쪽에 위치해 암 조직이 뼈에 가려져 수술이 힘들고 수술 후 요실금이나 성기능장애 등 부작용이 있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로봇수술의 경우 골반뼈 안쪽까지 카메라가 들어가 암 발생 부위를 10배 확대해 볼 수 있어 정밀하게 암조직을 제거할 수 있다. 주변의 성기능 신경과 혈관을 살려 성기능을 유지하고, 배뇨 관련 조직을 최대한 보존해 요실금을 예방 효과가 탁월하다. 수술 중 출혈도 적다.

로봇수술은 환자의 수술 부담이 적고, 회복도 빨라 수술 후 2~3일이면 퇴원할 수 있다. 수술 흉터가 크게 남지 않아 미용 만족도도 높다. 의사에게는 수술 피로도가 적다는 것도 장점이라는 게 관계자의 설명이다.

최영득 교수는 환자별로 다양한 암 형태를 가지고 있다는 것에 착안해 환자 상태에 따른 맟춤형 술기를 개발하고 있다. 대부분의 전립선암 로봇수술은 복강으로 로봇팔을 삽입해 수술한다. 최 교수의 경우 복강내 장기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복막 외 접근법의 안전한 수술을 시행하고 있다. 배꼽 아래부분에서 방광 윗 공간에 로봇팔을 넣어 전립선암을 수술하는 방법이다.

지금까지 개발한 20여 종류의 환자 맟춤형 로봇 전립선 적출술로 생존기간도 기대 이상으로 늘어났다. 최 교수는 암이 뼈로 전이돼 수술이 힘든 진행성 전립선암에서도 로봇수술을 적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암 조직을 제거하면서 요도조직과 성 신경은 최대한 남기는 ‘요도-신경-혈관 보존 로봇 적출술’을 개발했다.

대부분의 전립선암 로봇수술이 1~2시간 정도 걸리는데 반해 최 교수는 많은 경험과 다양한 술기, 복막 외 접근법으로 수술시간을 20여분으로 단축했다. 환자에 맞춤형 술기 적용과 복막 외 접근, 짧은 수술시간으로 출혈이 적고 마취시간도 줄여 수술에 따른 부작용도 최소화하고 있다.

최영득 교수는 “전립선암 수술은 로봇수술의 장점을 극대화 할 수 있다”면서 “다양한 수술기법과 경험, 노하우를 바탕으로 환자에게 최적의 수술을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204.90 ▲2.87
코스닥 811.00 ▲11.63
코스피200 433.40 ▲0.91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163,000 ▼240,000
비트코인캐시 671,500 ▼500
이더리움 4,050,000 ▼4,000
이더리움클래식 24,620 ▼30
리플 3,919 ▼9
퀀텀 3,049 ▼24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150,000 ▼330,000
이더리움 4,050,000 ▼4,000
이더리움클래식 24,630 ▼20
메탈 1,046 ▼1
리스크 596 ▼3
리플 3,921 ▼3
에이다 989 ▼5
스팀 194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060,000 ▼350,000
비트코인캐시 672,000 ▼500
이더리움 4,051,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4,680 ▲40
리플 3,923 ▼7
퀀텀 3,042 0
이오타 297 ▼1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