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진가영 기자] 피상속인은 유언 또는 증여로 의하여 재산을 자유로이 처분할 수 있지만, 일정한 범위의 유족에게 일정액을 유보해 두지 않으면 안 되며, 그 한도를 넘는 유증이나 증여가 있을 때 상속인은 반환을 청구할 수 있도록 한 제도가 유류분 반환 청구소송의 개념이다.
사람이 생전에 자기의 재산을 자유로이 처분할 수 있는 것과 같이 유언이나 증여를 통해 재산을 처분하는 것도 자유여야겠지만 사망자 근친자의 생계도 고려하지 않고 사망 직전에 타인에게 모든 재산을 유증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므로 일정 비율의 재산을 근친자를 위하여 남기도록 하는 것이 이 제도의 취지이며 현재 영국과 미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나라에서 해당 제도를 채용하고 있다.
유류분 반환 청구소송은 상속의 개시와 반환해야 할 증여 또는 유증을 한 사실을 안 때로부터 1년 내에 진행하지 않으면 시효에 의해 소멸되게 된다. 상속이 개시한 때로부터 10년을 경과한 때도 같다.
즉, 피상속인이 돌아가신 사실을 알고, 다른 형제에게 재산을 물려주었다는 사실을 안 시점부터 1년 안에 유류분 반환 청구소송을 하지 않으면 소멸시효에 의해 유류분 청구권은 없어진다는 뜻이다.
안 시점과 상관없이 돌아가신 지 10년이 지나도 소멸된다.
최근 평균 수명이 늘어나고 가족의 형태 또한 다양해짐에 따라 상속 관련 소송을 제기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
그 가운데서 특히 유류분 반환 청구소송에 대한 건수 및 기간이 늘고 있는 추세인데 실제로 대법원 유류분 통계에 따르면 1심 접수 사건의 경우 2010년 452건에서 지난해 1,444건으로 무려 219% 증가했으며 유류분 반환 청구소송의 기간 역시 11년 동안 3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무적인 소송 기간은 빠르면 한 달에서 길어질 경우 2년 이상 걸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법무법인 오현의 이주한 상속전문변호사는 "유류분 반환 청구소송은 상속재산을 정확하게 파악, 입증해야 유리하다."라며 "입증해야 할 재산 내역이 많을수록 소송 기간도 길어진다며 유류분 소송 기간을 줄이려면 상대방이 반박하지 못할 증거 자료를 최대한 많이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조언했다.
이어 "먼저 가족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가족관계 증명서가 필요하며, 현금 증여의 경우에는 상속인에게 현금을 증여한 내용의 통장 거래내역이 있어야 한다. 이와 함께 증여한 돈이라는 사실을 뒷받침할 만한 자료가 있어야 하며 이는 재판 진행 중에도 확인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부동산 증여의 경우 등기부등본을 먼저 발급해야 하는데 등기부상으로 증여 사실이 나타나지 않을 경우 소송에서 증여사실을 밝히는 것이 쉽지 않으며, 이때에는 고인이 부동산을 매각한 뒤 매각 현금이 없어졌다는 사실과 그 시점에 상속인 중 1인에게 동일한 현금이 입금된 사실을 밝혀 낸다면 증여 사실에 대해 분명하게 입증할 수 있다.
이처럼 유류분 반환 청구소송은 재산의 산정부터 청구권자의 권리, 소멸시효 등 고려해야 할 유의 사항이 매우 많다.
따라서 유류분 반환 청구소송을 진행할 때에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적극적으로 대비해야만 복잡하고 치열한 소송에서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진가영 로이슈(lawissue) 기자 news@lawissue.co.kr
유류분반환청구소송, 증여 및 상속재산 입증 가능해야 유리
기사입력:2021-12-09 11:00:00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91.84 | ▼10.19 |
코스닥 | 800.67 | ▲1.30 |
코스피200 | 430.73 | ▼1.76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3,641,000 | ▼684,000 |
비트코인캐시 | 689,500 | ▼1,500 |
이더리움 | 4,112,000 | ▼1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5,290 | ▼130 |
리플 | 4,022 | ▼10 |
퀀텀 | 3,093 | ▼5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3,578,000 | ▼873,000 |
이더리움 | 4,114,000 | ▼1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5,280 | ▼150 |
메탈 | 1,078 | ▲1 |
리스크 | 603 | ▲3 |
리플 | 4,019 | ▼13 |
에이다 | 999 | ▼8 |
스팀 | 200 | ▲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3,610,000 | ▼740,000 |
비트코인캐시 | 690,000 | ▼2,500 |
이더리움 | 4,110,000 | ▼1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5,300 | ▼160 |
리플 | 4,022 | ▼13 |
퀀텀 | 3,100 | 0 |
이오타 | 300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