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OECD 국가 중‘이직률’ 최대…실직 후 재취업은 저조

기사입력:2019-01-23 08:14:49
[로이슈 편도욱 기자] 서형수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경남 양산을, 기획재정위원회)이 OECD(경제개발협력기구)의 'OECD Employment Outlook 2018'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OECD국가 중 이직률이 가장 높고 근로자(1년이상 근속 기준)가 해고되는 비율도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해고 이후 1년 이내 재취업률은 절반에 못 미쳐, 미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등 다른 OECD국가에 비해 재취업 속도가 느린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재취업을 위한 기간 중 소득상실에 대한 사회 안전망이 절실하게 필요하지만, 실업자 대비 실업급여 수급자가 상대적으로 적고, 실업급여 수준도 낮은 것으로 나타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OECD Employment Outlook 2018'에 따르면, OECD국가별 이직률은 한국이 31.8%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용유연성이 높은 미국(19.7%), 호주(19.2%) 등보다 높고, OECD평균(16.9%)를 넘어선다. 또한 1년 이상 근속한 근로자가 해고되는 비율도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고용불안이 심각한 것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해고 이후 1년 이내 재취업률은 절반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1년 이내 재취업률은 50%미만(2003~2008년), 40%미만(2009~2010년)대로 다른 OECD국가들보다 상대적으로 낮았고, 미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등 다른 OECD국가에 비해 재취업 속도가 느린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소득상실 우려가 큰 재취업 기간 중 소득보장을 위한 사회 안전망 확충이 요구된다.

그러나 'OECD Employment Outlook 2018'에서 산출하는 ‘유사 적용률’(pseudo-coverage rate)*에 따르면, 한국은 2007년 30.6%에서 2014년 38.4%로 개선되었지만 OECD평균(58.6%)에 한참 미치지 못했다.
아울러 평균 근로소득 대비 실업급여 수준을 측정하는 ‘순소득 대체율’(net replacement rate, NPR)은 2014년 기준 OECD국가 평균(28%)보다 낮은 10%(실직 후 5년 평균)를 나타냈고, 실직 후 1년 평균(31%)이나 초기 대체율(50%)도 OECD평균인 각각 53% 및 64%보다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실업급여수준이 낮을 뿐만 아니라 기간이 매우 짧기 때문이다.

이에 서 의원은 “OECD 국제비교를 통해 우리나라의 이직률은 높은 반면 재취업 과정의 소득상실에 대한 사회안전망은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이 드러났다”고 평가하고, “실업급여 수준과 기간 등 제도적 보완과 함께 실업부조 도입을 통해 다층적 사회안전망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편도욱 기자 toy1000@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591.86 ▼42.84
코스닥 841.91 ▼13.74
코스피200 352.58 ▼6.48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93,768,000 ▼557,000
비트코인캐시 697,000 0
비트코인골드 48,610 ▲150
이더리움 4,484,000 ▼23,000
이더리움클래식 38,150 ▲10
리플 732 ▲3
이오스 1,139 ▼2
퀀텀 5,890 ▼1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93,800,000 ▼400,000
이더리움 4,487,000 ▼14,000
이더리움클래식 38,240 ▲110
메탈 2,444 ▼76
리스크 2,520 ▲28
리플 732 ▲3
에이다 685 ▼1
스팀 382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93,662,000 ▼501,000
비트코인캐시 694,500 ▼1,000
비트코인골드 48,850 0
이더리움 4,484,000 ▼13,000
이더리움클래식 38,200 ▲90
리플 732 ▲3
퀀텀 5,895 ▼5
이오타 338 ▲5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