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정 실무주역, ‘글로벌 산업경쟁력포럼’ 전격 출범

국내 산업경쟁력 강화 위해 조기해법 찾기 나서 기사입력:2017-09-14 15:32:48
지난 13일 코트라(KOTRA)에서 열린 글로벌 산업경쟁력포럼 창립총회.(사진=최영록 기자)
지난 13일 코트라(KOTRA)에서 열린 글로벌 산업경쟁력포럼 창립총회.(사진=최영록 기자)
[로이슈 최영록 기자]
국내 산업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해법을 찾기 위해 민·관·정 실무주역들이 팔을 걷어붙였다.

지난 13일 코트라(KOTRA)에서 IMF 외환위기의 조기 해법을 모색하기 위해 정부와 삼성, 현대차, SK, LG, 효성, 쌍용 등 주요 기업과 코트라, 전경련, 무역협회, 중소기업중앙회 등 경제단체 최고 실무진이 손을 맞잡고 출범시킨 ‘수출연구회’ 멤버들이 ‘글로벌 산업경쟁력포럼’을 출범시켰다.

포럼은 산업분야의 전문성을 두루 갖추고 30년 넘게 일해 온 정만기 전 산업부 차관을 회장으로 선임하고 앞으로 산업경쟁력 지수개발 등 산업경쟁력 관련 정책 연구,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한 산업 및 통상정책, 기업전략, 대중소상생협력, 교육 및 인력 개발, 창업, 신산업기술전략 사업과 남북경협, 경제외교, 국제협력을 통한 글로벌 경쟁력에 관한 사업 등에 주력하기로 했다.

이날 정세균 국회의장, 백운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장병완, 홍익표, 이채익, 황영철, 황희 등 여야 의원, 김재홍 코트라 사장, 업계·학계·연구기관, 언론 등 2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사)글로벌 산업경쟁력포럼 창립총회 및 발기인대회를 개최하고 이후 ‘대한민국 산업경쟁력 어디에 와있나, 일자리는 괜찮은가?’란 주제로 토론회를 가졌다.

장병완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장은 축사에서 “출범하는 산업경쟁력포럼이 추진할 글로벌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연구와 경쟁력지수개발과 교육 및 인력육성 사업은 우리 산업의 현실을 진단하고 미래전략을 제시하는 핵심이 될 것이라고 지적하고 우리 산업발전의 좋은 촉매제가 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권오용 고문(효성)은 주제발표 “‘한국경제, 희망을 말한다’를 통해 헬조선 등 한국경제·사회의 미래에 대한 비관과 우려가 있지만 성장의 경험과 축적된 역량을 잘 발휘한다면 한국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도 훌륭한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며 “특히 한국은 지난 10여년간의 경제구조조정기에 미래의 핵심소재인 반도체와 배터리 분야에서 차별적 경쟁우위를 접해왔으며 거기에 문화와 지식을 망라하는 가치경쟁력까지 확보해 4차산업혁명기에도 주도적 역할을 할 수 있다”고 피력했다.

다만 앞으로의 경제성장이 경제적 경쟁력만으로는 확보되지 못하는 특징이 있으므로 행정, 정치, 사회, 노동, 교육, 문화를 아우르는 국가전반의 혁신과 경쟁력 확보 전략이 구사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지난 20년간 정권이 교체될 때마다 우리 경제의 성장률이 하락한 현상은 현재 1987년 체제의 한계를 노정시킨 것이라며 우선적으로 헌법개정을 통한 정치시스템의 혁신을 주문했다.

천재원 포럼 사무국장은 “글로벌 산업경쟁력 제고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제언이란 주제 발표에서 산업경쟁력이 낮은 경우에는 제품과 서비스 수요위축-투자위축-일자리 감소라는 경제의 악순환에 직면할 우려가 있다”며 “산업경쟁력 현황 진단 및 중장기 국가전략의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일례로 우리나라 산업경쟁력 평가에서 국제경쟁에 직접 노출되는 국내 제조업의 임금수준은 2016년 기준 우리나라 1인당 GDP 대비 제조업 임금수준은 1.43배로 주요 선진국보다 높은 수준이고 노동생산성 수준은 OECD 34개 국가 중 28위로 OECD 평균대비 68% 수준이라 지적하고 생산성을 경쟁국 수준으로 제고하는 것이 시급한 상황이라는 것이다.

이에 따라 포럼은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국가차원의 컨트롤타워 구축을 위해 민관협의체 신설 △국회 산업경쟁력 특별위원회 구성을 통해 각 부처 및 기관들의 경쟁력 제고 △5년 내 매년 10만개씩 10만개 새로운 일자리 창출을 위한 10대 핵심과제 제시 △네거티브 규제방식 도입 등 규제개혁 추진 △가격 경쟁력과 가치 경쟁력의 선순환 구조 구축 △글로벌시장 진출 플랫폼 구축 및 진출방식의 다양화 등을 제안했다.

최영록 기자 rok@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745.82 ▼9.29
코스닥 910.05 ▼1.20
코스피200 373.22 ▼0.86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00,826,000 ▲356,000
비트코인캐시 812,500 ▲500
비트코인골드 67,200 ▲400
이더리움 5,109,000 ▲25,000
이더리움클래식 46,150 ▲290
리플 887 ▲4
이오스 1,512 ▲10
퀀텀 6,635 ▲75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00,926,000 ▲429,000
이더리움 5,114,000 ▲26,000
이더리움클래식 46,200 ▲270
메탈 3,196 ▲18
리스크 2,883 ▲28
리플 887 ▲3
에이다 926 ▲3
스팀 484 ▲5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00,781,000 ▲444,000
비트코인캐시 808,500 ▼3,000
비트코인골드 67,300 ▲600
이더리움 5,102,000 ▲24,000
이더리움클래식 46,040 ▲220
리플 886 ▲3
퀀텀 6,625 ▲20
이오타 501 ▼4
ad